-
와이드바인 시큐리티 레벨카테고리 없음 2022. 2. 5. 11:30
와이드 바인은 멀티DRM의 한종류로써 MPEG-DASH스트리밍 방식에서 사용 됩니다. 와이드 바인을 사용하는 브라우져는 크롬, 파이어 폭스 등이 있습니다.
와이드 바인은 다른 멀티 디알엠과 다르게 시큐리티 레벨로 정의를 합니다. 시큐리티 레벨은 L1, L2, L3, 미지원 으로 정의가 됩니다. (변동 될수도 있습니다.)-
Widevine L3 : 이것은 DRM이 전적으로 소프트웨어 기반 인 가장 낮은 지원 옵션입니다. Widevine L3 만있는 장치에는 DRM 암호화를 실행할 수있는 TEE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가 없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Widevine 보호 콘텐츠는 480p에서만 재생됩니다.
-
Widevine L2 : L2를 지원하는 장치에는 TEE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가 있지만 비디오 처리는 소프트웨어 또는 별도의 비디오 하드웨어에서 발생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Widevine으로 보호되는 콘텐츠는 최대 540p 해상도로 재생됩니다.
-
Widevine L1 : 이것은 미디어가 TEE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에서 완전히 해독되고 처리되는 최고 수준의 보호입니다. L3를 지원하는 장치는 가능한 가장 높은 해상도로 Widevine 보호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자신의 기기의 DRM레벨을 확인하였을때, L1 혹은 L2 라면 넷플릭스, 혹은 구글 무비등 HD화질(720p이상, 1080p, 4K) 을 지원하게됩니다. 하지만, L3 레벨이라면 HD화질(540p이상)을 지원을 못하게 됩니다. 크롬 데스크탑은 L3입니다.Widevine(와이드 바인) DRM은 DRM info 라는 앱을 통하여 현재 보안 레벨을 확인 할 수있습니다.* L1, L2의 경우 Widevine의 기기 등록(인증), 하드웨어적 처리 통하여 가능하다고 합니다.* L3는 순전 보안 기술이아닌 기기 성능으로 소프트웨어로 시큐리티레벨을 처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