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네트워크 토폴로지카테고리 없음 2025. 1. 11. 23:30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네트워크 구성 요소들이 서로 연결되는 방식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는 네트워크의 물리적 배치(물리적 토폴로지)와 데이터 흐름 방식(논리적 토폴로지)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올바른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설계하면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확장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주요 네트워크 토폴로지 유형 1. 버스 토폴로지 (Bus Topology) • 특징: 모든 장치가 단일 중앙 케이블(버스)에 연결됩니다. • 장점: • 설치와 구현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합니다. •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합니다. • 단점: • 중앙 케이블에 장애가 발생하면 전체 네트워크가 중단됩니다. • 네트워크 확장이 어렵습니다. • 사용 사례: 소규모 네트워크, 과거의 LAN 환경. 2. 스타 토..
-
의존성 주입(DI), 전략 패턴, 옵저버 패턴에 대해 알아보기카테고리 없음 2024. 8. 3. 16:34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중에서도 특히 중요한 의존성 주입(DI), 전략 패턴, 옵저버 패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들 패턴은 코드의 유연성, 확장성, 재사용성을 높여주기 때문에 많은 개발자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각 패턴의 개념과 함께 Node.js 또는 NestJS를 이용한 코드 예시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의존성 주입 (Dependency Injection, DI)개념의존성 주입은 객체의 생성과 객체 간의 의존 관계를 설정하는 과정을 외부에서 담당하는 디자인 패턴입니다. 이를 통해 코드의 결합도를 낮추고, 더 유연하고 테스트하기 쉬운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장점결합도 감소: 객체들이 직접 의존성을 만들지 않게 함으로써 결합도를 낮춥니다.유연성 증가: 의존성을 쉽게 ..
-
컨트롤러, 서비스, 레포지토리, 라우터 및 기타 구조카테고리 없음 2024. 7. 27. 17:49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현대 서버 아키텍처에서 자주 사용되는 컨트롤러, 서비스, 레포지토리, 라우터 그리고 기타 다양한 구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각각의 역할이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1. 컨트롤러 (Controller)역할과 기능컨트롤러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들어오는 HTTP 요청을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로 라우팅된 요청을 받아 해당 요청에 대한 적절한 서비스를 호출하고,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합니다.특징요청 처리: 클라이언트의 HTTP 요청을 받아 해당 요청을 처리합니다.서비스 호출: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는 서비스 계층을 호출합니다.응답 반환: 처리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으로 반환합니다. 2. 서비스 (Service)역할과 기능서비..
-
RAG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새로운 시대의 텍스트 생성 기술카테고리 없음 2024. 7. 13. 18:20
인공지능과 자연어 처리(NLP)의 발전은 날로 눈부시게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텍스트 생성 기술은 챗봇, 번역기, 콘텐츠 생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 등장한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는 텍스트 생성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더욱 정교하고 정확한 결과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RAG의 개념, 작동 원리, 그리고 응용 사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RAG란 무엇인가?RAG는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의 약자로, 정보 검색과 텍스트 생성을 결합한 모델입니다. 전통적인 텍스트 생성 모델은 주어진 입력을 바탕으로 텍스트를 생성하지만, RAG는 여기에 더해 외부 지식 베이스나 문서에서 ..
-
클러스터 인덱싱 vs. 논클러스터 인덱싱: 데이터베이스 인덱싱 기초카테고리 없음 2024. 6. 26. 14:23
데이터베이스 성능 최적화를 위해 인덱스(Index)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클러스터 인덱스와 논클러스터 인덱스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검색하는 데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클러스터 인덱스와 논클러스터 인덱스의 개념, 차이점, 장단점, 그리고 사용 예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클러스터 인덱스(Clustered Index)란?클러스터 인덱스는 테이블 내의 데이터 행들이 물리적으로 정렬된 순서에 따라 저장되는 인덱스입니다. 즉, 클러스터 인덱스가 생성되면 해당 인덱스의 키 값을 기준으로 테이블의 데이터가 재정렬됩니다. 하나의 테이블에는 하나의 클러스터 인덱스만 생성할 수 있습니다.예시CREATE TABLE Employees ( EmployeeID INT PRIMARY KEY, ..
-
데이터베이스 조인 알고리즘카테고리 없음 2024. 6. 19. 18:18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조인은 매우 중요한 연산입니다. 조인은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결합하여 관련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다양한 조인 알고리즘과 그들의 동작 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중첩 루프 조인 (Nested Loop Join)중첩 루프 조인은 가장 기본적인 조인 알고리즘입니다. 두 개의 테이블이 있을 때, 첫 번째 테이블의 각 행마다 두 번째 테이블의 모든 행을 검사하여 조건에 맞는 행을 찾습니다.SELECT *FROM A, BWHERE A.key = B.key;동작 방식:외부 루프: 테이블 A의 각 행을 하나씩 가져옵니다.내부 루프: 테이블 B의 각 행을 하나씩 가져와 A의 현재 행과 비교합니다.조건을 만족하는 행이 있으면 결과 집합에 추가합니다.장점:구현이 ..
-
MTU(최대 전송 단위) 이해하기카테고리 없음 2024. 6. 18. 16:58
네트워크 설정이나 관리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MTU(최대 전송 단위)입니다. MTU는 네트워크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최대 패킷 크기를 정의하는 매개변수입니다. 이 블로그 포스트에서는 MTU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네트워크 성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MTU란 무엇인가?MTU는 Maximum Transmission Unit의 약자로, 네트워크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단일 데이터 패킷의 최대 크기(바이트 단위)를 의미합니다. MTU 크기는 패킷의 헤더와 페이로드를 포함합니다.예를 들어, 이더넷의 기본 MTU 크기는 1500바이트입니다. 이는 이더넷 프레임이 헤더를 포함해 최대 1500바이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MTU가 중요한 이유효율성:..
-
이해하기 쉬운 스레싱(Thrashing) 설명 및 해결 방법카테고리 없음 2024. 6. 17. 15:44
운영 체제의 메모리 관리에서 스레싱(Thrashing)은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이 블로그 포스트에서는 스레싱이 무엇인지, 왜 발생하는지,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스레싱(Thrashing)란 무엇인가?스레싱은 운영 체제가 페이지 부재(Page Fault)를 처리하느라 대부분의 시간을 소모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로 인해 실제 작업을 수행할 시간이 부족해지며, 시스템 성능이 급격히 저하됩니다.스레싱의 발생 원인스레싱은 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합니다:과도한 멀티태스킹: 동시에 실행되는 프로세스가 많아 각 프로세스가 필요한 메모리를 확보하지 못할 때.작업 집합 크기 초과: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작업 집합(Working Set,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